광역시별 대장아파트 시세 추이

수도권별 인구

2023년 2월 기준 수도권별 인구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331만), 인천(295만), 대구(236만), 대전(144만), 광주(143만), 울산(110만) 순이다.

2010년부터 2023년 2월까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31평에서 35평 사이 아파트의 최고분양가 평균단가를 산출했다.

토지도산 거래가격 자료는 면적을 제외하여 추출하였으며 면적환산은 (제외면적 x 0.3025 x 1.3)으로 계산하였다.

따라서 호갱노노, 아실 등 일부 민간 부동산 사이트는 평균 조회수에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인구를 기준으로 부산, 인천, 대구를 비교하고 대전과 광주를 비교해보자. 광역시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울산과 경상남도 창원을 비교해 보자.

부산·인천·대구 주택시세 흐름


부산-대구-인천-대장아파트-평단가추이
부산-대구-인천-대장아파트-평단가추이

빨간색은 부산, 보라색은 대구, 하늘색은 인천입니다.

먼저 부산과 대구를 보면 2014년까지는 부산이 앞서다가 2015년부터 대구가 추월하기 시작했고 2017년에는 잠시 시세가 비슷해졌고 이후 강세장에서 대구가 부산을 앞질렀다.

증가폭이 더 커진 것 같습니다.

21의 정점에서 부산의 시세가 좀 더 지배적입니다.

부산과 인천을 비교하면 2019년까지는 부산이 인천보다 일정 폭으로 비쌌지만 2019년 이후 상승장에서는 격차가 크다.

갈라진 모습입니다.

즉, 유동성 시장이 왔을 때 부산에 더 많은 수요가 왔다.

인천보다 부산이 더 진보한 곳이라고 볼 수 있다.

대구와 인천은 인구수로 보면 비슷한 가중구간이지만 시세를 보면 대구가 인천보다 높은 시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산 대장아파트는 2010~2016년 대우 트럼프월드 센텀, 2017년 경남마리나, 2018~2019년 대우 트럼프월드 센텀, 2020~2021년 마린시티자이, 2022~2023년 대우 트럼프월드 센텀이다.

대구대장아파트는 2010~2013년 범어롯데캐슬, 2014~2017년 범어SK뷰, 2018년 범어롯데캐슬, 2019~2020년 빌리브범어, 2021년 경남타운, 2022~2023년 힐스테이트 범어 입니다.

인천 대장아파트는 2010~2011년 아이파크 송도, 2012년 송도 더샵 그린애비뉴 7단지, 2013년 해모로 월드뷰, 2014년 글로벌 캠퍼스 푸르지오, 2015~2016년 송도 더샵 그린워크 3차, 송도 센트럴 2017 파크푸르지오,

송도 더샵 퍼스트파크 F15BL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는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부산은 해운대구 대구는 수성구 인천은 송도마켓 리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전광주대장 주택시세 흐름


대전-광주-대장아파트-평단 가격동향
대전-광주-대장아파트-평단가추이

노란색은 대전, 빨간색은 광주입니다.

대전이 광주보다 항상 시세가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대전과 광주의 시세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이 기간까지는 대전이 광주보다 컸다.

높았다 2023년부터는 대전의 시세가 급격하게 하락하면서 광주와의 격차가 좁혀졌다고 볼 수 있다.

대장아파트의 과거 동향만 놓고 보면 대전이 저평가됐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

추후 지역분석을 통해 실제 대전이 과소평가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전의 대전 아파트는 2010 주공타하우스, 2011-2012 스마트시티 2단지, 2013-2016 주공타운하우스, 2017 스마트시티2단지, 2018-2021 도룡SK뷰, 2022 스마트시티2단지, 2023 대전아이파크시티2단지 입니다.

복잡한.

광주 대장아파트는 2010년 모아엘가, 2011년~2014년 포스코 더샵, 2015년 광주 수완 6차 대방노블랜드, 2016년~2022년 봉선제3차 아델리움, 2023년 봉선동 제일경관채엘리트파크

대전은 유성구 광주는 남구시장의 리더입니다.

울산 창원대장 주택시장 시세변동


울산-창원-대장아파트-평단가추이
울산-창원-대장아파트-평단가추이

하늘색은 울산, 주황색은 창원(성산구)이다.

울산은 광역시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어서 같은 경상도에 있는 창원시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차트를 보면 두 도시의 대형 아파트 가격이 거의 비슷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비슷한 추세를 보는 것이 이상합니다.

울산대장아파트는 2010년 옥동디아채, 2011~2013년 그랜드파크월드메르디엔, 2014년 그랜드파크한신휴플러스, 2015~2016년 문수로2차아이파크, 2017~2018년 그랜드파크한신휴플러스, 2019년 – 2021년 문수로 2차 아이파크, 2022년 그랜드파크 한신휴플러스, 2023년 문수로 2차 아이파크

창원 성산구 대장아파트, 노블파크 2010, 트리비안 2011, 노블파크 2012, 트리비안 2013, 드림앤그린 2014-2016, 용지 더샵 레이크파크 2017-2021, 용지 아이파크 2022 , 2023 이것이 더샵 레이크 올해의 공원.

울산 남구와 창원 성산구가 시세를 주도하고 있다.

함축

부산과 인천의 과거 시세 추이를 보면 현재 인천이 부산보다 월등히 저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송도지역에 대한 지역분석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부산과 대구의 대장아파트 시세를 보면 대구가 오래전부터 시세가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구의 입주자수, 미분양물량 등 현재 시장 상황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며 부산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대전과 광주는 항상 광주보다 시세가 상당히 높았습니다(2017-18 제외). 과거 추세로 볼 때 현재 대전은 광주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대전지역이 궁금하시다면 지역분석을 해보세요.

울산과 창원도 비슷하게 움직였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앞으로는 두 지역 중 어느 지역이 유행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가격 비교를 보고 싶은 지역이 있으면 의견에 알려주십시오.